- 취약점
- 악성코드
- High Sierra
- krack
- 부트가드
- apache struts
- 피플소프트
- 리버싱 핵심 원리
- 블루본
- 보안
- Team Parma
- 아파치 스트럿츠
- 하이 시에라
- Secure Kernel Extension Loading
- digitalocean
- 어도비 플래쉬
- 해킹
- PeopleSoft
- BlueBorne
- 실전 악성코드와 멀웨어 분석
- 원격 코드 실행
- 안드로이드
- Code Execution
- IOS
- 제로데이
- CVE-2017-9805
- ExpensiveWall
- DLink 850L
- 에퀴팩스
- microsoft wor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oday
- Total
Team Parma
CCleaner v5.33.6162 에서 악성코드 발견.. 약 2백만명이 다운로드 한것으로 추정 본문
최근 아바스트(Avast)가 인수한 Piriform Utd. 의 CCleaner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약 2백만명이 다운로드 한 것으로 추정되며, 해당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CCleaner를 최신 버전(v5.34) 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Avast는 CCleaner가 자동 업데이트 되도록 패치한 상태이다.
사진: CCleaner의 로고 (출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piriform.ccleaner)
CCleaner는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을 정리용 소프트웨어로서 파일 삭제, 퍼포먼스 분석, 프로그램 관리기능 등을 제공한다. 감염이 확인된 버전은 8월 15일부터 9월 12일까지 배포된 CCleaner v5.33.6162와 CCleaner Cloud v1.07.3191이며 아직 정확하게 감염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Cisco에 따르면, CCleaner의 설치 과정에서 Floxif 악성코드를 설치하여 감염된 컴퓨터로부터 컴퓨터 이름, 아이피 주소, 설치된 소프트웨어 목록, 사용중인 소프트웨어 목록,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 등을 빼돌려 미국에 위치한 C&C 서버로 전송하는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악성코드가 심어졌음에도 불구하고 CCleaner의 인증서(Certificate)는 정상인 것으로 판별되고 있어 인증서의 폐기 후 재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다.
만약 해당 버전의 CCleaner를 사용했다면, 프로그램을 당장 업데이트 하기를 권고한다. 또한 가능하다면 운영체제의 재설치도 고려해보는게 좋다.
출처:
http://www.piriform.com/news/release-announcements/2017/9/18/security-notification-for-ccleaner-v5336162-and-ccleaner-cloud-v1073191-for-32-bit-windows-users
http://www.securityweek.com/millions-download-maliciously-modified-pc-utility
'IT/보안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오션(DigitalOcean)의 1-click droplet 설치 취약점 발견 (0) | 2017.09.19 |
---|---|
새로운 종류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를 통한 공격 발견.. 매크로 등 액티브 컨텐츠 없이 공격 가능 (0) | 2017.09.19 |
안드로이드 ExpensiveWall 패킹된 악성코드: SMS와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 서비스 결제 (0) | 2017.09.15 |
맥OS 하이 시에라 (macOS High Sierra)의 Secure Kernel Extension Loading(SKEL) 제로데이 취약점 (0) | 2017.09.15 |
BlueBorne(블루본) 블루투스 제로데이 공격: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리눅스 대상 (0) | 2017.09.14 |